자주 물으실 듯 한 질문 미리 정리
■ 기업, 공공기관에서 엄청 자주, 많이 사용해도 무료인가?
네. 재판매만 금지되어 있습니다.
■ 숫자 1과 0, PU, B, AA 의 단축키 설정을 도저히 찾지 못하겠다. 대체 어디에 있나?
설치설명서에도 있지만, XiCAD의 단축키 설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.
첫 번째는 ../xicad/Lisp/_onekey.lsp
두 번째는 명령어 COM (유틸리티 - 열기 및 닫기 - 단축 명령어 설정)
입니다.
두 군데의 단축키가 중복되어져 있다면.. ../xicad/Lisp/_onekey.lsp 가 우선입니다.
0, 1, AA 등의 명령어는 _onekey.lsp 안에 들어 있습니다.
이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수정을 하시면 되나, 만약 Lisp 을 전혀 모르신다면.. 그냥 ...이 파일을 삭제하시어요. 작동에 전혀 지장이 없는 파일입니다.
** _onekey.lsp 파일을 만든 목적은 매우 단순한 함수로 만들어진 Lisp을 사용자가 맘대로 수정/삭제/추가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었습니다.
■ 도면 열 때 딜레이 현상이 있다. 내 최신 컴 사양을 무시하는 거냐?
- XiCAD 업그레이드 체크를 위한 핑을 백신프로그램 또는 사내 방화벽에서 잡아 두고 있을 수 있습니다.
XiCAD 업그레이드 메세지가 나올 때 "1년 동안 다시 알리지 않음" 을 체크하거나, 아래 문구를 복사해서 명령창에 넣고 실행하시면 됩니다.
(xi:setcfg "/xiVersionCheck" (list "1" (substr (rtos (getvar 'cdate) 2 6) 1 8)))
■ 전체 명령어 목록은 있는가? 없겠지 ㅎㅎ?
아래 글의 첨부파일을 보시면 됩니다.
■ 자동출력 관련 여러 질문
- 선축척이 이상하게 출력된다. 내 잘못인가?
메뉴얼에도 있지만, 자동출력 대화상자에 있는 "도움말" 버튼을 누르시면, 관련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.
원인은 대화상자에 있는 "자동 선축척" 옵션이 켜져 있는 탓입니다.
- 도곽블럭으로 출력시 중단된다. 놀리는 거나?
메뉴얼에도 있지만, 도곽블럭 이름에 특수문자 (@ 등등)이 있을 경우 인식되지 않습니다. 원래 원칙상 블럭이름에는 특수문자를 쓸 수 없기 때문에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블럭이름을 정하는 것은 XiCAD 운영을 떠나서 여러가지 에러가 날 수 있습니다.
- PDF로 저장하려는데 안된다. 장난하나?
메뉴얼에도 있지만, 네트워크 또는 NAS 서버로 작업을 할 때, 드라이브 문자 (c: d: e: ....)가 할당 되지 않은 경우, 서버제조사에 따라서 에러가 날 수 있습니다. 이 때는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해서 사용을 하시기 바랍니다.
또한 폴더 경로 전체와 파일 이름을 합쳐서 256자를 넘어갈 경우 에러가 납니다. 이 역시 캐드 자체적인 제한입니다. 그러므로 경로를 조금 줄여서 사용하시어요.
■ 설치 후 "설치를 완료"라는 대화상자가 자꾸 나타난다. 설치한 것을 그새 까먹은 것인가?
설치설명서에도 있지만... 최초 설치시 로딩된 "../xicad/_Dropdown_to_Screen_for_INSTALL.lsp" 파일은 설치용 파일이므로, 한번만 실행을 하면 됩니다.
이 것이 계속 로딩되어서 그렇습니다. 목차에 넣어 두었거나, appload에 계속 남아 있는 것은 아닌지 보세요.
■ 대화상자의 한글이 다 깨져서 나온다. 어찌된 일인가?
설치설명서에도 있지만,
운영체계가 한글이 아니면, 대화상자의 한글이 깨져 나옵니다.
이는 XiCAD의 코드가 UTF-8 이 아니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.
제어판 - 국가 또는 지역 - 관리자 옵션 -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 언어에서 한국어를 선택해 주세요.
■ 오토캐드 사용자인데, 설치는 했는데 작동하지 않는다. 짜증이 확 밀려온다.
설치설명서에도 있지만, [도구-AutoLisp-응용프로그램로드-목차(목록,시작세트,Contents 등 프로그램별 상이함)]에
AutoCAD,GstarCAD : xi.fas
BricsCAD : xi.des
ZWCAD : xi.zelx
를 등록시킴으로써 실행되며, 이 것이 올라가 있지 않으면 수동으로 등록시키면 됩니다. 파일은 ..:/xicad/Lisp 폴더에 있습니다.
■ 풀다운 명령어는 되는데, 단축키 명령어는 안된다. 내 키보드가 꼬진 것인가?
설치설명서에도 있지만, 단축키 파일에 XiCAD 명령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서 입니다.
풀다운메뉴 [유틸리티 - 열기, 닫기 및 설정 - 명령어 수정]을 실행하여, pgp 파일에 적용을 하시면 됩니다.
XiCAD 단축키가 pgp 파일의 아래에 등록되기에, 사용자 단축키보다 우선 실행됩니다.
■ 난 [2D 제도 및 주석]이 작업공간인데, XiCAD 메뉴가 보이지 않는다. 내 방식을 무시하는 거냐?
설치설명서에도 있지만, 명령창에 menubar 를 실행 후, 1 을 입력하시면 메뉴가 보입니다.
리본메뉴는 XiCAD의 지향점과 결이 다르기에 지원하지 않을 생각입니다.
■ ZWCAD, BricCAD, GstarCAD 사용자인데, 안되는 명령어가 있다. 찬밥인가?
설치설명서에도 있지만,
BricsCAD와 ZWCAD 등의 프로그램은 사소한 변수값 들이 AutoCAD와 달라서 그렇습니다.
만들면서, 모든 명령어를 모든 프로그램의 모든 버전에서 다 시험해 볼 시간이 안되기 때문에,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
오류가 있을 경우, 질문게시판에 올려 주시면 그 때 그 때 처리를 해드리고 있습니다.
GstarCAD는 2022년 7월 시점까지 ObjectDBX 를 지원하지 않아서, 많은 파일을 빠르게 수정하는 명령어 대신 파일을 모두 오픈해서 수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. 그러므로 이 것이 불편하시면 (XiCAD보다 훨씬 더 기능이 좋은) 구매시 함께 제공되는 지원프로그램을 사용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.
그리고, GstarCAD 운영시 멈추는 현상이 있는데, 그 것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.
gstarcad.co.kr/bbs/board.php?bo_table=qna&wr_id=1298&page=3
■ 21세기를 선도하고 있는 새로운 캐드프로그램의 공급자이다. XiCAD가 우리 프로그램에서 실행되어야 한다. 언제까지 만들어 줄 수 있는가?
현재 XiCAD는 대안캐드 중에 BricsCAD, GstarCAD, ZWCAD 만을 지원하고 있는데, 이는 제 의지는 아닙니다.
XiCAD는 AutoLisp 을 기반으로 하므로, 사실 캐드의 종류와 상관없이 (몇명 변수설정값만 신경쓰면) 모두 지원이 가능합니다. 하지만 이 것만 지원하게 된 배경이 있습니다.
여러 대안캐드를 검토해 본 결과, 지원을 하지 못한 프로그램의 공통적인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.
1. AutoLisp 의 함수를 모두 지원하지 않았습니다. (vla-, vlax- 로 시작되는...)
2. lsp 파일의 암호화를 지원하지 않았습니다. (fas, vlx, des 와 같은....)
3. ObjectDBX를 지원하기 않았습니다.
이 조건이 안되면.. 미래를 씹어 먹는 프로그램이라도 지원되지 않습니다.
예를 들어 GstarCAD 는 2021 버전부터 훨씬 좋아 졌지만, 이제까지 몇몇 함수의 미지원으로, XiCAD의 모든 명령어가 실행되고 있지 않았습니다. 소비자 입장에서 이렇게 안되는 명령어가 있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, 아니면 아예 XiCAD 자체가 지원되지 않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를 잘 판단하시기 바랍니다.
즉, 반쪽 프로그램 보다, 아예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라고 하는 것이 마케팅 측면에서 더 나은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. 제가 관여할 일은 아닙니다만....
■ XiCAD 는 지금은 무료지만.. 사용자가 많아지면 유료로 전환하여 멘붕에 빠지게 하려는 의도아닌가?
아마도 미래에는 유료 보다는 [기부]형식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만... 우리나라의 기부 문화를 고려해 볼 때, 안받는 것이 더 맘이 편할 듯 싶습니다. ㅡㅡ;;;
■ 몇 개만 쓸만하고 나머지 기능은 허접하다. 쓸만한 기능만 떼어내서 줄 수 있는가?
유료프로그램을 만드는 회사에 가셔서 쓸만한 기능만 떼어 달라고 해보셔요. 꽁짜는 권리가 아닙니다.
■ 메뉴얼은 없는가?
각 명령어를 실행하면 도움말 기능이 홈페이지의 그 명령어에 해당하는 설명글과 연결이 됩니다.
이 것이 메뉴얼을 대체할 예정입니다.
'Help for XiCA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XiCAD 란.... (7) | 2020.12.29 |
---|---|
XiCAD(지캐드) 게시판 (0) | 2015.01.26 |